
무료재무상담, 포트폴리오에셋에서 지금 바로 받아보세요!
내집마련 전략
- 청약저축통장
고민 하시면 안 됩니다. 내 집 마련을 하겠다면 꼭 보유하고 있어야 하는 상품입니다.
청약예금
한번에 묵돈을 예치한 후 민영주택 또는 민간건설 국민주택에 청약자격이 주어집니다.
민간건설 국민주택을 계획중일 때 선택하는 통장입니다.
청약부금
적금형태로 납입하며 지역별 해당 예치금에 도달하였을 경우 민영주택 및 민간건설 국민주택의 청약권이 주어집니다.
매월 3만원~ 50만원까지 납입 가능하며, 2년 이상경과시 1순위가 됩니다.
청약저축
한공공기관 건설주택 및 아파트 청약에 유리하며 매월 2만원~ 10만원 까지 불입이 가능합니다.
가입 후 2년 경과 및 24회 이상 불입시 청약 1순위가 될 수 있습니다.
주택청약종합저축
2009년에 출시된 상품으로 민영 및 공공주택 모두 청약이 가능합니다.
* 2015년부로 청약예금, 청약부금, 청약저축이 주택청약종합저축으로 통합되었습니다.
기존의 주택청약 관련 상품에서 구별하였던 기능을 한데 통합하고, 국민주택과 민영주택을 가리지 않고 모든 신규분양주택에서 사용할 수 있는 것을 “만능청약통장”이라고 합니다.
청약통장을 보유하고 있지 않다면 현재 본인의 상황에 맞는 상품을 선택하는 것이 현명합니다.
- 구체적 목표 설정
마련하고자 하는 집이 어떤 형태인지 설정해야 합니다.
단독주택인지 아파트인지, 또한 지역은 어디고 계획한 지역의 평당 시세가 얼마정도 하는지, 얼마의 목적자금이 필요한지, 그 목적자금을 만들 기간은 얼마를 잡을 것인지,
그 기간 동안 물가상승률을 반영한 주택가격은 얼마정도로 예상되는지, 현재 수입에서 얼마정도의 투자가 가능한지, 지출부분에서 줄일 수 있는 내역은 없는지 등이
모두 설정되어 있어야 합니다. 사실 전문가가 아닌 이상, 요소들 하나하나 다 체크하기가 쉽지 않은 일입니다.
확실한 목표만 잡고 나머지는 자격 있는 전문가에게 어드바이스를 요청하면, 한 가지도 빠짐없이 꼼꼼하게 챙기실 수 있습니다.
- 금액과 기간에 알맞은 투자 상품 선택
“모든 사람이 자신의 돈을 세 부분으로 나누도록 하라.그리고 3분의 1은 토지에, 다른 3분의 1을 사업에 투자하고 나머지를 준비금으로 보유하도록 하라.”
2000년 전 유태인의 경전 탈무드에 나오는 글입니다. 지금 현실에 세 부분이라면 안정성 자산, 수익성 자산, 유동성 자산으로 배분하라는 의미겠지요.
모든계획이 세워졌다면 실행에 옮겨야 합니다. 필요자산을 설정한 기간동안 마련을 하기 위해서는 기대수익률이 몇%입니까?
그 기대수익률을 만족시키면서 추가 혜택을 받을 수 있는 상품은 어떤 것들이 있을까요? 안정성과 자산과 수익성자산, 유동성 자산이 배분되었나요?
예를 들어, 계산을 한번 해 볼까요?
예를 들어 강북에 34평 아파트로 목표를 잡았다면 4억정도의 자금이 필요합니다.
은행에 매월 200만원씩 13년 1개월 동안 저축을 하면 4억 100만원 정도 됩니다.(연 5% 단리 401,441,1150원 중 세후이자가 87,441,150원입니다.)
200만원 X 157개월 = 401,441,150원(세후이자 87,441,150원)
그러나 13년이라는 기간이 있다면 단리가 아닌 복리를 선택했어야 합니다.
10년이상 장기 상품에 비과세 또는 저율과세 혜택도 받으실 수 있고, 복리적용 상품을 선택하셨다면 엄청난 수익률을 경험할 수 있습니다.
비과세 저축상품에 같은 조건으로 납입을 했을 때 7억정도 됩니다.
(기대수익률 11%, 지난 100년간 주식 평균 수익률은 15%에서 물가상승률 4%를 뺀 수익률)
200만원 X 157개월 = 702,296,277원(세후이자 388,269,777원)
이해를 돕기 위해 비교하는 예이지만 이율과 기간, 금액을 정확히 계산한 정보입니다.
그렇다면 13년 후의 아파트 가격은 그대로 있을까요? 절대 그럴 수 없죠. 13년간 평균 물가상승률 4%를 추가해야 합니다.
시중은행 금리로는 절대 물가상승률을(복리적용) 따라갈 수 없습니다. 즉 은행 저축만으로 내집장만을 할 수 없다는 겁니다.
그래서 계획적이고 구체적인 자산포트폴리오가 필요한 것이고, 자산에 대해 상의할 수 있는 전문가가 하나쯤은 곁에 있어야 하는거죠.
- 분산투자는 선택이 아닌 필수!
분산투자는 단순히 돈을 나눈다는 개념보다는 투자에 대한 위험을 나눈다는 개념으로 봐야 하는 것이 맞습니다.
묵돈을 만들면서 나름의 노하우와 자신감을 얻어 막대한 자금을 과감하게 한 곳에 집중 투자하는 사람들을 볼 수 있습니다.
하지만, 노하우가 생기고 투자에 대해 잘 안다고 해서 위험이 줄어드는 것은 절대 아닙니다.
투자를 할 때에는 기대수익률을 만족시킬 수 있어야 하고, 자산을 지킬 수도 있어야 합니다. 하지만 자칫 잘못하면 수익률이 나빠지거나, 자신의 자산이 위협을 받게 되지요.
그래서 자산을 여러 종류로 구분해 분산투자를 해야 합니다. 따라서 자산의 위험을 줄이고, 합리적인 수익률을 얻기 위해서는 정확한 포트폴리오가 있어야 합니다.
정보가 넘쳐나는 세상이지만, 그만큼 정보의 진위를 판가름하기가 어려워 졌습니다.
정확한 정보인지 확실히 구분하기 힘들다면, 재무 분야의 전문가에게 자문을 구하는 것이 좋습니다.
자신의 맞춤 재무 포트폴리오를 보유한다면 노후까지의 계획 또한 완벽하게 갖출 수 있습니다.